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display:flex
- 숙면기원
- 공부
- 네트워크
- 코딩테스트
- 재귀함수
- 반복문
- cli
- DOM
- node.js
- 조건문
- HTTP
- 자바스크립트
- javascript
- 야행성
- React
- CSS
- 생활패턴
- Semantic
- 리액트
- html5
- 웹접근성
- 시멘틱
- GUI
- target="_blank"
- 페어프로그래밍
- API
- 와이어프레임
- jsx
- a태그
- Today
- Total
목록프론트엔드 과거의 흔적 (28)
뉴비 개발자의 학습일기

CSS(Cascading Style Sheets)는 HTML로 만들어진 웹 페이지의 뼈대에 살을 입히고 디자인하는 언어이다. 웹 페이지의 스타일과 레이아웃을 정의하고 전달력, 가독성, 디자인적 탁월함 등의 더 나은 사용자 경험(UX, user experience)을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만드는 수단인 것이다. 프론트엔드 개발자는 CSS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화면의 구성, 배치컴포넌트 기능에 따른 분류 및 제작타이포그래피와 색상의 적용요소의 정렬이나 배색에 대한 감각 기르기UI/UX에 대한 고민 및 바람직한 구현 방향에 대한 고민셀렉터는 요소의 이름이나 ID, Class를 선택하고 선택한 특정 요소에 적용할 내용을 중괄호 ..

태그는 anchor의 약자로 하이퍼링크를 넣고 싶을 때 사용하는 태그이다.이 태그를 href 속성과 함께 사용하여 아래 이미지처럼 하이퍼링크를 삽입할 수 있는데, 2번 째 줄의 "./login.html" 링크처럼 작성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현재 보고 있는 페이지에서 해당 링크로 이동하게 된다.이 때,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새 창에서 페이지가 열리도록 하고 싶다면 target="_blank"를 써주면 된다. 처음 이미지의 HTML 코드를 브라우저를 통해 보면 이런 페이지가 출력된다. 여기서 로그인 페이지를 누를 경우 이렇게 보고 있던 페이지 자체가 해당 페이지로 이동한다. 해당 링크는 작성만 해놓았을 뿐 실제로는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 더미 링크이기 때문에 이렇게 오류가 발생한다. 반면에 target="_..

오늘은 웹 개발에 있어서 가장 필수적인 부분인 HTML과 CSS, JavaScript가 각각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배웠다. 또한 기초적인 HTML의 구성 요소와 문법, 시멘틱(semantic)요소를 사용하여 사람과 컴퓨터가 읽기 쉬운 코딩을 하는 법과 그래야 하는 이유 등에 대해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HTML은 웹 페이지 혹은 웹 앱의 기본적 틀을 마크업하는 언어이고, CSS는 HTML로 작성된 뼈대에 살을 입히고 색을 칠하는 수단이라고 할 수 있으며 자바스크립트는 그럴듯한 겉모습을 갖춘 코드에 동적 반응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자주 사용하는 HTML 요소로는 , , , , , 그룹 태그, , , , , 등이 있고 이외에도 input 태그나 label 태그, button 태그 등이 있다. inp..

오늘은 앞으로 약 180일 동안 나아갈 여정의 첫 출발을 준비하는 날이었다. 코드스테이츠 프론트엔드 부트캠프의 방향성, 목표, 대략적인 커리큘럼 등에 대해서 설명을 듣고 학습 환경의 세팅을 완료함과 동시에, 알아두어야 할 규칙과 기본적인 루틴, 마음가짐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면서 다가올 24주를 치열하게 보내겠다고 다짐했다. 그 중에서도 기억에 남고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내용이 바로 위 이미지에 나오는 두 가지 목표이다. 학창 시절에 겪었던 흔히들 말하는 주입식 교육이나 암기식 학습 방식에 익숙해져 있는 만큼, 스스로 무엇인가를 찾고, 배우고, 고민하는 과정이 어색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나는 오늘 부트캠프 OT를 들으면서 크루 분들이 무엇보다도 강조했던 부분이 바로 능동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학습습관 형성..